After Effects에서 83::2
오류가 발생했다면, 대부분 폰트(글꼴) 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이 글에서는 단계별로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아래 방법들을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대부분의 83::2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빠른 해결 방법 요약
- 문제 폰트 제거: Type 1/손상된/비표준 메타데이터 폰트 삭제, OTF/TTF로 교체
- Adobe 폰트 캐시 초기화:
AdobeFnt*.lst
파일 삭제 후 After Effects 재시작 - Windows 폰트 캐시 재구축:
FontCache*.dat
/FNTCACHE.DAT
삭제 - After Effects 안전 모드/설정 초기화: 플러그인 비활성화로 실행 → 필요시 환경설정 초기화
- 동기화/관리자 권한: Sync Settings 해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테스트
- 최신 업데이트 적용: After Effects/Creative Cloud/폰트 업데이트
오류 증상 및 메시지 유형
83::2 오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TM Parse Error (83::2) 또는 cannot access font (83::2)
- CT bad param: invalid glyphID (83::2)
- string memory leak (83::2) (프로그램 종료 시 나타나는 팝업)
방법1: 문제 폰트 식별 및 교체 (Type 1 → OTF/TTF)
2023년부터 최신 Adobe 애플리케이션들은 PostScript Type 1 폰트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또한 내부 이름에 영문/숫자가 아닌 문자가 포함된 폰트도 83::2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설정 → 개인 설정 → 글꼴에서 최근 설치된 폰트(특히 Type 1/커스텀 폰트) 제거
- 프로젝트에서 누락되거나 문제가 있는 폰트를 OTF/TTF 대체 폰트로 교체
- 서드파티 폰트 관리 프로그램(Extensis 등) 사용 중이라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후 테스트
비슷한 설치·권한 충돌 흐름은 Premiere Pro 에러 146 설치 오류 가이드에서 상세 단계를 참고하면 빠르게 분기 판단이 됩니다.
방법2: Adobe 폰트 캐시(AdobeFnt*.lst) 삭제
Adobe 애플리케이션은 폰트 정보를 AdobeFnt*.lst
캐시 파일에 저장합니다. 이 파일이 손상되면 After Effects가 폰트를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해 83::2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중요: AdobeFnt*.lst 캐시 파일은 공용 폴더뿐만 아니라 사용자별 AppData 폴더에도 생성됩니다!
삭제해야 할 파일 경로 (모든 경로 확인 필수):
📁 공용 폴더: C:\Program Files\Common Files\Adobe\TypeSupport\ C:\Program Files\Common Files\Adobe\PDFL\<버전>\Fonts\ C:\Program Files\Common Files\Adobe\PDFL\<버전>\CMAPS\ 📁 사용자별 AppData 폴더 (반드시 확인!):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Adobe\ 📁 사용자 로컬 캐시(앱·버전별): C:\Users\<사용자>\AppData\Local\Adobe\TypeSupport\ 👉 드라이브 전체에서 "AdobeFnt"로 검색 → 확인된 모든 *.lst 삭제 (앱/버전에 따라 폴더/파일명이 다를 수 있음)
💡 팁: AppData\Roaming\Adobe 폴더 내의 AdobeFnt*.lst 파일도 반드시 삭제해 주세요. 이 파일들은 프로그램 실행 시 자동으로 다시 생성되므로 안전하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
AdobeFnt.lst 캐시 파일 검색 후 삭제하기
방법3: Windows 폰트 캐시 재구축 (순서 확정본)
Windows 운영체제 자체의 폰트 캐시가 손상되어도 After Effects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단계를 순서대로 따라하세요.
1. 폰트 캐시 서비스 중지
GUI 방법: 서비스(services.msc)에서
- Windows Font Cache Service
-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Font Cache 3.0.0.0 두 항목을 각각 '중지'
CMD(관리자) 방법:
net stop FontCache net stop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Font Cache 3.0.0.0"
※ 두 번째 서비스가 있으면 중지, 없으면 무시
Windows Font Cache 서비스 중지 후 캐시 파일 삭제 |
2. 캐시 파일 삭제
탐색기 방법:
%WinDir%\ServiceProfiles\LocalService\AppData\Local\
폴더의FontCache\*.dat
삭제%WinDir%\System32\
의FNTCACHE.DAT
삭제
CMD(관리자) 방법:
DEL /Q "%WinDir%\ServiceProfiles\LocalService\AppData\Local\FontCache\*.dat" DEL /Q "%WinDir%\System32\FNTCACHE.DAT"
3. 서비스 시작 또는 재부팅
GUI 방법: 두 서비스 상태가 자동/실행으로 복귀됐는지 확인
CMD(관리자) 방법:
net start FontCache
※ 재부팅 시 자동으로 재생성됨
4. 확인
첫 부팅 때 폰트 로딩이 잠깐 느릴 수 있음(정상). After Effects 재실행으로 오류 재발 여부 확인.
방법4: 안전 모드 실행 및 플러그인 점검, 환경설정 초기화
서드파티 플러그인이나 손상된 환경설정 파일도 83::2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 모드 실행 방법:
1. After Effects 시작 시 시작 복구 메뉴(Start-up Repair) / 안전 모드(Safe Mode) 선택2. Starting in Safe Mode 창이 나타나면 "Disable 3rd party plugins during session" 옵션 선택
3. OK 버튼을 눌러 모든 서드파티 플러그인이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
4. 여전히 오류가 발생한다면 환경설정 초기화 실행 (시작 시 Ctrl+Alt+Shift 키 조합)
💡 팁: 안전 모드에서 오류가 해결된다면 특정 플러그인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후 플러그인을 하나씩 다시 활성화하면서 문제 플러그인을 찾아보세요.
After Effects 안전 모드로 실행하여 플러그인 원인 분리하기
방법5: 동기화 및 권한 관련 문제 해결
- 프로그램 종료 시에만 string memory leak (83::2)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Preferences → Sync Settings 항목을 선택적으로 해제해보세요 (필수 조치는 아님)
- After Effects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증상이 개선되는지 확인해보세요
방법6: 프로그램 및 폰트 업데이트
Creative Cloud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서 After Effects 및 설치된 모든 폰트의 업데이트를 확인하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최신 업데이트에는 폰트 관련 버그 수정사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해결 완료 확인 체크리스트
- 프로젝트를 열 때 83::2 오류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음
- 문제가 되었던 폰트를 모두 OTF/TTF 형식으로 교체 완료
AdobeFnt*.lst
파일이 새로 생성되었는지 확인 (공용폴더 + 사용자폴더 모두)- Windows 폰트 캐시 파일이 정상적으로 재생성되었는지 확인
- 플러그인을 개별적으로 다시 활성화해도 정상 작동
추가 해결 팁
- 프로젝트 파일 백업: 해결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현재 프로젝트 파일을 반드시 백업해두세요
- 단계별 테스트: 각 단계를 완료할 때마다 After Effects를 재시작하고 오류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시스템 재부팅: 폰트 캐시 관련 작업 후에는 시스템을 완전히 재부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 Creative Cloud 로그아웃/로그인: 동기화 문제가 의심된다면 Creative Cloud에서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해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83::2 오류코드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나요?
After Effects 내부에서 폰트 파서(parser)나 캐시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가 가장 일반적입니다. 가끔 프로그램 종료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경고가 83::2 코드로 표시되기도 합니다.
Q2. 캐시 파일을 삭제하면 설치된 폰트가 사라지나요?
아닙니다. 캐시 파일(AdobeFnt*.lst
, Windows FontCache*.dat
)은 폰트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파일일 뿐이며, 삭제 후에는 자동으로 다시 생성됩니다. 실제 폰트 파일이 삭제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작업입니다.
Q3. Type 1 폰트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나요?
최신 Adobe 애플리케이션에서는 Type 1 폰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동일한 서체의 OTF(OpenType Font) 또는 TTF(TrueType Font) 버전을 찾아서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Q4. 사용자별 AppData 폴더의 캐시 파일을 놓쳤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Windows 탐색기에서 %AppData%
를 입력하면 AppData\Roaming 폴더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 안의 Adobe 폴더에서 AdobeFnt로 시작하는 모든 .lst 파일을 삭제하세요. 이 파일들은 After Effects 실행 시 자동으로 다시 생성됩니다.
Q5. 위 방법들을 모두 시도했는데도 오류가 계속 발생합니다.
모든 단계를 완료했음에도 83::2 오류가 지속된다면, 특정 프로젝트 파일 자체에 문제가 있거나 시스템 레벨의 심각한 충돌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Adobe 공식 기술지원에 문의하시거나, 새로운 프로젝트 파일로 작업 내용을 옮겨보시기 바랍니다.
폰트·캐시로 해결되지 않거나 다른 영상 툴에서도 유사 충돌이 이어지면, 원인 분기별 점검 흐름을 한 번에 볼 수 있는 허브에서 다음 단계를 확인하세요 → 영상/스트리밍 툴 오류 해결 모음 — 실행 안됨·충돌·인코딩 문제 종합 가이드
0 댓글